'연구성과 확산' 올해 6조 6726억원 투자
상태바
'연구성과 확산' 올해 6조 6726억원 투자
  • 김형달 기자
  • 승인 2023.01.02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미래 기술 선점을 위한 신규 사업 착수
2023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분야별 예산 현황
2023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분야별 예산 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사업 종합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총 6조 6726억원을 투자하는 2023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 분야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예산 5조 2418억 원, 정보통신방송기술(ICT) 분야 연구개발 예산 1조 4308억원을 대상으로 하며, 지원 예산은 전년(6조 4161억원)대비 약 3.9% 증가했다.

올해 과기정통부는 미래 핵심기술을 선점하고, 과학 및 정보통신 기술의 현장 확산을 위해 3대 분야 10대 중점투자방향을 설정해 총 6조 6726억원을 지원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미래 핵심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투자를 강화한다. 

시스템 반도체, 첨단 바이오 등 전략기술의 초격차를 확보하고, 인공지능 및 5·6세대 이동통신 등 디지털 혁신기술 개발과 디지털 혁신기술의 경제·사회 융합 및 확산을 중점 지원한다. 

또한 누리호 3차 발사와 다목적 실용위성 7호 발사를 성공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지원한다.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차세대 치료 원천기술개발(2023년 신규, 55억원)

■ 차세대 발사체 개발사업(2023~2032 / 총 2조 132억원, 2023년 290억원 지원)

■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2023년 신규, 45억원)

■ 양자기술개발선도(양자센서)(2023년 신규, 71억원)

둘째, 연구 기반 및 역량을 강화한다. 

기초연구는 국가 필수전략기술 분야 ‘혁신연구센터(IRC)’를 신규 추진하고 젊은 연구자의 안정적인 연구를 지원하는 ‘한우물파기 기초연구’를 신설해 자율성과 전략성을 겸비한 기초연구로 도약한다. 

반도체·우주·인공지능 등 국가 전략기술 분야 핵심 인재 양성도 병행한다. 초고성능컴퓨팅 6호기, 저전력 화합물 반도체 개발 위탁생산 구축 등 연구에 핵심적인 기반 확충을 위한 투자도 확대한다.

■ 혁신연구센터(IRC)(2023년 신규, 112억원), 한우물파기 기초연구(2023년 신규, 30억원)

■ 과학기술혁신인재양성(2023년, 547억원), 인공지능핵심인재양성(2023년 200억원), 인공지능반도체 고급인재양성사업(2023년 신규, 42억원)

■ 국가 플래그십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 고도화(2023년 신규, 184억원)

셋째, 현장으로 과학 및 정보통신기술을 확산하기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 

태양전지, 탄소 자원화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을 고도화 하고, 지역 주도의 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메가프로젝트를 신규 추진한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 연구개발도 강화할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정보통신기술 융합 디지털포용기술개발을 추진하며, 고층건물 화재 진압기술 등 현장의 수요와 연계한 재난대응 연구개발을 신규 추진한다. 

또한 시장수요에 기반한 정보통신기술 기업의 신제품ㆍ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 지원, 유망 정보통신기술 새싹기업 성장 지원 등을 통해 디지털 혁신기업 육성을 지원할 예정이다.   

■ 직접공기포집(DACU) 원천기술개발(2023년 신규, 58억원)

■ 지역혁신 메가 프로젝트(2023년 신규, 76억원)

■ 정보통신기술융합 디지털포용기술개발(2023년 신규, 45억원)

■ 고기능성 소화탄 및 무인 능동진압기술개발(2023년 신규, 20억원)

■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 혁신바우처 지원(2023년 신규, 278억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연구개발 절차도 개선한다. 우선 과학기술분야는 대형 연구시설 사업 추진 검토를 정례화해 기획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한다. 

반기별(3월, 9월)로 지역 및 연구기관의 대형 연구시설 구축 수요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획 및 신규사업 추진 여부를 검토한다. 

또한 미래유망기술분야 기획 수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기획 전문위원 활용을 확대한다.

정보통신분야는 연구개발 성과가 신속한 민간투자·실용화로 이어지도록 과제기획 단계에서 시장수요조사(기업, 공공기관 등) 절차를 신설한다.

또한 기획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획위원 선정위원회를 통해 기획위원을 선발하며,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을 구성해 평가의 전문성 및 공정성을 강화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확정된 종합시행계획에 따라 신규 사업·과제별 추진일정을 2일자로 공고했으며, 온·오프라인 동시 생중계로 진행되는 정부 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설명회(3일)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연구개발사업 종합심의위원회에서 과학기술 분야는 연구개발의 도전·혁신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고도화 방향을 제시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에 제시된 주요 추진방향으로는 첫째, 한계에 도전하는 연구개발 사업을 전면화 한다.

대한민국의 10년~20년 뒤를 책임 질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고위험·고부가가치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둘째, 핵심 전략기술을 집중 개발한다.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6개 핵심 전략기술과 이들 기술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1개 기반기술을 선별해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 6개 핵심 전략기술 및 1개 기반기술 >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

전지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 주

수 소

+

첨단

소재

셋째, 초일류 인재확보를 본격화한다. 세계적 수준의 석학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자의 성장을 지원하고, 해외 우수연구자 유치를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넷째, 연구성과의 폭발적 확산(Impact)을 집중 지원한다. 연구성과가 지역, 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혁신 생태계를 전략화 한다. 

다섯째,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연구관리 및 평가 제도를 개선해 나간다.

정보통신기술 분야는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사업 종합심의위원들을 대상으로 2023년도 정보통신·방송 기술개발 및 표준개발 지원사업, 인재양성사업, 기반조성 및 사업화 지원사업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한정된 연구개발 자원을 디지털 혁신기술에 집중 투자하는 방안, 산업계·연구자 중심의 성과 극대화를 위한 연구개발 방식 도입 방안, 실효성 있는 디지털 인재 양성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종합심의위원회를 시작으로 정책방향에 대한 연구현장 의견수렴을 계속해나갈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추진 과제 등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