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표면 감염균 막는 기술개발 성공
상태바
임플란트 표면 감염균 막는 기술개발 성공
  • 최경주 기자
  • 승인 2020.10.29 1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벌레잡이통풀에서 힌트…윤활유가 감염균 부착 방해
정형외과 임플란트 소재에 의한 감염·염증 방지 기대
나노유막코팅 기술의 정형외과 임플란트 응용가능성 제시 (연세대 서정목 교수 연구팀 제공)
나노유막코팅 기술의 정형외과 임플란트 응용가능성 제시 (연세대 서정목 교수 연구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물이나 먼지 같은 오염물은 튕겨내고 벌레만 자루 속으로 끌어들이는 벌레잡이통풀 표면 특성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표면 감염균을 막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29일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서정목 교수, 고려대 정형외과 장우영 교수 연구팀이 표면의 나노구조체와 미끄러운 윤활유를 이용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소재의 감염이나 면역거부반응 우려를 낮출 표면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골절치료나 인공관절삽입 등에 쓰이는 금속소재 임플란트는 감염이나 염증을 막기 위해 표면에 항생제를 도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이나 염증과 신경 손상과 같은 약물 부작용, 항생제 자체에 대한 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수술 전후 감염균이나 염증유발단백질의 부착을 막기 위한 하이드로겔 기반 표면코팅이 시도돼 왔다.

그러나,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소재는 수술 중 강한 기계적 자극에 노출되는 데다 치료에 몇 주 이상 소요되는 수술의 특성상 장기간 코팅 성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 임플란트 소재와 나노유막코팅이 적용된 임플란트 소재 특성 비교. A기존 임플란트 소재에서는 혈액이 표면에 잔여물을 남기면서 흐른다. B나노유막코팅 임플란트 소재에서는 혈액이 표면에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굴러 떨어진다. (연세대 서정목 교수 연구팀 제공)
기존 임플란트 소재와 나노유막코팅이 적용된 임플란트 소재 특성 비교. A기존 임플란트 소재에서는 혈액이 표면에 잔여물을 남기면서 흐른다. B나노유막코팅 임플란트 소재에서는 혈액이 표면에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굴러 떨어진다. (연세대 서정목 교수 연구팀 제공)

연구팀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염증을 유발하는 면역단백질 등의 부착을 막을 수 있는 내구성이 강한 나노유막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개발된 코팅은 수술 중 생길 수 있는 기계적 손상에도 부착 방지 성능이 자가 치유(Self-healing)되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동물 모델의 체내에서도 코팅기능이 수 주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표면의 나노구조체에 균일하게 도포된 윤활유 성분이 감염균이나 면역거부인자가 포함된 혈액의 흡착을 막아준 데 따른 것이다.

기존 임플란트 소재에 혈액을 떨어뜨리면 소재 표면에 잔여물을 남기며 흐르지만 나노유막 코팅 소재의 경우 표면에 잔여물을 전혀 남기지 않고 혈액이 굴러 떨어졌다.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서정목 교수(왼쪽)와 고려대 안암병원 정형외과 장우영 교수.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서정목 교수(왼쪽)와 고려대 안암병원 정형외과 장우영 교수.

나아가 실제 골절토끼모델의 임플란트 삽입 부위를 살펴본 결과 나노유막코팅이 적용된 임플란트에서는 감염이나 염증이 일어나지 않았다.

한편, 골절된 부위의 골재생은 감염되지 않은 대조군과 동일하게 효과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제안한 코팅기술을 금속 외 고분자 소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비뇨기과용 도뇨관, 스텐트 △삽입형 의료 전자기기 등의 응용가능성에 대한 후속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0월29일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