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전해액 사용량 4배 줄인 리튬-황 전지 개발
상태바
KAIST, 전해액 사용량 4배 줄인 리튬-황 전지 개발
  • 김형달 기자
  • 승인 2020.06.25 1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해액 사용량을 4배 줄인 리튬-황 전지를 개발한 KAIST 김희탁 교수(왼쪽)와 정진관 박사과정. 사진=KAIST 제공
전해액 사용량을 4배 줄인 리튬-황 전지를 개발한 KAIST 김희탁 교수(왼쪽)와 정진관 박사과정. 사진=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전해액 사용량을 4배 줄인 리튬-황 전지를 개발했다.

25일 KAIST(총장 신성철)에 따르면 생명화학공학과 김희탁 교수팀이 기존 대비 전해액의 함량을 4배 이상 줄인 리튬-황 전지를 개발했다.

리튬-황 전지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중 연구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분야다.

리튬-황 전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2~3배 높아서 이를 사용하면 전기동력 기체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단 리튬-황 전지는 리튬이온전지와 달리 매우 높은 전해액 함량을 갖고 있다.

전지 무게의 40%에 달하는 과량의 전해질 사용은 전지 무게 증가로 인해 그동안 리튬-황 전지의 고에너지밀도 구현에 큰 걸림돌이 돼왔다. 리튬-황 전지는 황이 방전되고 난 후의 산물인 `리튬 폴리 설파이드(Lithium poly sulfide)'가 전해액에 용해된 상태에서 빠른 충 ‧ 방전 특성을 갖는다.

이 전해액 양을 낮추면 리튬 폴리 설파이드의 용해량이 감소해 용량 및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리튬금속 음극이 전해액을 분해해 전해액이 고갈되는 문제는 낮은 전해 액체량에서 더욱 심해져 결국 전지 수명을 떨어뜨린다.

이에 연구팀은 리튬 나이트레이트 염과 같이 높은 전자공여(다른 화합물에 전자를 주는 성질) 능력이 있는 염을 전해질에 주입하면 폴리 설파이드의 용해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리튬금속에서 전해질 분해를 억제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

리튬이온과 결합력이 강한 나이트레이트 음이온이 리튬이온의 `용매화 껍질(Solvation Shell)'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리튬 폴리 설파이드의 해리도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용해도가 향상된다는 사실도 증명했다.

또 용매화 껍질 구조변화가 전해액 용매 분자와 리튬금속과의 접촉을 낮춰 분해반응을 억제하는 현상도 확인했다.

희탁 교수는 "황 양극과 리튬금속 음극의 성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전해액 설계원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ˮ며, "차세대 전지 전해액 설계산업 전반에 걸쳐 넓게 응용되기를 기대한다ˮ고 말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석사졸업생인 추현원 학생(現 MIT 박사과정 재학 중)과 정진관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Advanced energy materials)'에 지난 2일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