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통행식 ‘전력시설 확충’ 불안만 키운다
상태바
일방통행식 ‘전력시설 확충’ 불안만 키운다
  • 김찬혁 기자
  • 승인 2020.04.23 16: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시 17개 광역단체 중 전력자립도 최하위
제6차 지역에너지 계획 수립…신재생에너지 확대 방침
도안 수소발전소 주민 반발로 취소…안전연구 병행돼야
대전시 유성구 학하동에 위치한 학하 수소충전소.
대전시 유성구 학하동에 위치한 학하 수소충전소.

전력자립도 전국 최하위권인 대전시가 에너지 발전 시설을 확충해 자립도를 높인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주민 반발을 우려해 사업대상지 조차 밝히지 않아 논란이 가중될 전망이다. 

대전시는 지난 21일 2025년까지의 에너지 공급 전략이 담긴 제6차 지역에너지 계획을 수립했다. 시는 산업단지 태양광 설치 확대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늘리고 수소충전소 12곳을 구축, 산업단지 내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건립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수소융복합충전소 구축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력자립도를 높이겠다는 시의 입장이 잘 드러나는 사업이다.

시 관계자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수소 연료를 추출하는 방식이어서 시에서 자체적으로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셈”이라며 “기존에 튜브트레일러로 운반하는 방식보다 연료 단가도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인프라 확충 전략에도 구체적인 주민 소통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은 아직 미흡한 상태다.

시는 2021년까지 수소충전소 5곳을 건립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 영업 중인 학하 수소충전소를 제외한 나머지는 완공이 불투명한 상태다. 주민 반발을 우려해서다. 대성동 민간 충전소는 지난해부터 공사가 지연되고 있으며 나머지 3곳은 아직 부지조차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유성구 원신흥동에 건립될 예정이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는 주민 반발로 취소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를 추진하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 관계자는 “(사업자인) 한국남동발전에 대한 발전사업 허가 기간이 지난 2월까지였지만 한국남동발전 측의 연장 신청이 없었던 만큼 허가 취소 수순에 접어들었다”며 “사실상 전면 취소”라고 설명했다. 

이어 “(발전소 부지가) 학교 및 아파트와 가까웠던 만큼 주민들의 많은 민원이 있었다”며 “한동안 같은 부지 내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들어서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해당 부지 내 다른 에너지 시설 건립에 대해서도 “LH는 부지 제공을 해주는 입장일 뿐”이라며 말을 아꼈다. 

대전시가 주민불안을 해소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반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월 수소 발전시설에 대한 주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수소 안전관리체계를 국민들에게 상세히 알려주는 TF팀까지 발족했다.

대전시 역시 정부 방침에 맞춰 에너지발전 시설 확충과 더불어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주민 소통 방안이 함께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는 대목이다.

시 관계자는 “대전테크노파크를 통해 수소 경제 전반에 대한 홍보 영상을 만들고 있다"며 "부지 선정 전 반드시 설명회를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2018년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광역시도 지역별 전력생산량. 

한편, 에너지경제연구원이 2018년 발표한 광역시도 지역별 전력자립도(전력생산량/전력소비량)에 따르면 대전시의 전력자립도는 0.02로 서울시와 함께 17개 광역지자체 중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인근에 위치한 세종시가 1.05를 나타내며 상위권에 속한 것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전력자립도가 1 이상일 경우 지역에서 자체 생산한 전력으로 충분히 소비가 가능하지만, 에너지 자립도가 0.1 이하일 경우 해당 지역 내 전력 생산을 위한 발전설비가 부족, 타 지역에서 생산하는 전력에 의존해야 함을 뜻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